임용된 여성 법관 비율 최근 10년 임용 법관 가운데 여성 법관 비율 20년 전인 1998년만 해도 6.4%에 불과하다가, 10년 전인 2008년에 21.1%가 됐다. 이후 급격하게 늘던 여성 법관 비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꺾여 2018년 현재 29.8%로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대한민국 판사는 누구인가] (3) 여성 법관 둘러싼 편견과 오해 - 여성이 나서는 것 꺼리는 ‘남초’ 직장, 법원도 다를 바 없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2
채소·과일 소비자물가 상승률 7월 채소·과일 소비자물가 상승률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배추·무 등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채소류는 전달 대비 3.7%, 농축수산물은 1.3%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폭염·가뭄에 고열지 된 고랭지…채소들도 ‘속 탄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2
채소·과일 도매가격 동향 주요 채소·과일 도매가격 동향 배추와 무 가격은 7월 상순까지 평년 수준에서 안정세가 유지됐지만, 7월 중순부터 지속된 폭염으로 작황이 나빠지면서 강한 상승세로 전환됐다. 배추 도매가격은 7월 상순 포기당 1630원에서 중순 2650원으로, 하순 3500원으로 계속 올랐다. ■관련기사 폭염·가뭄에 고열지 된 고랭지…채소들도 ‘속 탄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2
스마트폰 출하량 순위 올해 2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순위 1일 시장조사기관인 IHS마켓 등의 보고서를 보면 올해 2분기 화웨이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5400만대로 삼성전자(7100만대)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그동안 2위를 지켜온 애플은 4100만대로 화웨이에 밀려 3위가 됐다. ■관련기사 화웨이, 스마트폰 시장 애플 제치고 2위 올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2
주택가격 조사방식 비교 한국 감정원과 KB국민은행 전국 주택가격 조사방식 비교 두 기관의 주택가격 조사방식 차이점은 조사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감정원은 조사 대상 표본주택을 대상으로 직원 300여명이 직간접 조사를 진행한다. KB국민은행은 ‘표본주택 실거래가격’과 함께 전국의 부동산중개업소를 상대로 온라인·전화·팩스를 통한 설문조사를 벌인다 ■관련기사 감정원·국민은행, 닮은 듯 다른 주택값 분석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02
폭염취약성지수 8월 폭염취약성지수 지도 범정부 차원에서 폭염 대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만든 폭염취약성지수는 폭염에 대응하는 능력의 상대적 차이를 0에서 1까지 표준화한 값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폭염에 취약하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전주·익산·광주 북구, 폭염에 더 취약한 까닭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01
삼성전자 실적 추이 삼성전자 실적 추이, 2018년 부문별 영업이익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58조4800억원, 영업이익 14조870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일단 매출이 전 분기 60조5640억원에서 3.4% 줄어들며 5분기 만에 60조원대를 밑돌았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반도체 쏠림 클수록 더 깊어지는 ‘미래먹거리 고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1
금고 공개입찰 광역단체 현황 올 하반기 금고 공개입찰 예정 광역단체 현황 인천시 1금고는 신한은행으로 일반회계, 공기업특별회계, 기금 등 8조1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관리·운용하고 있다. 2금고인 농협은 기타특별회계 1조4000억원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광역단체 4곳 금고 잡아라” 은행들, 수싸움이 시작됐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01
누진제 개편 후 요금 비교 2016년 누진제 개편 전후 전기요금 비교 예컨대 올여름 월평균 전력사용량이 350kwh인 도시 거주 4인 가구를 기준으로, 소비전력 1.8㎾인 스탠드형 에어컨을 한 달간 하루 10시간씩 틀면 평소보다 17만7000원의 요금을 더 내야 한다. 그러나 2016년 누진제 개편이 되지 않았다면 이보다 22만1000원이나 많은 39만8000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했다. ■관련기사 “2016년 누진제 개편 때 주택용 이미 대폭 경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1
지방으로 이양되는 국가시무 지방으로 이양되는 주요 국가사무 어린이 놀이터나 어린이집 등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 관리 사무는 환경부에서 시·군·구와 교육청으로, 성범죄자의 아동·청소년시설 취업 여부 점검 사무는 여성가족부에서 시·도로 이양돼 안전업무에 대한 지자체 책임이 커지게 됐다. ■관련기사 항만 운영·물류단지 지정·외국인 의료기관 등록, 지방에 넘긴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