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규모, 대기업들의 비정규직 비율,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외환위기 전후 직업 선택 기준 변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비정규직 규모, 대기업들의 비정규직 비율,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외환위기 전후 직업 선택 기준 변화

경향신문 DB팀 2017. 11. 16. 16:04


통계청의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2015년 20대 가구의 소득은 3282만원으로 전년 대비 124만원(3.7%) 감소해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래 처음으로 줄었다. 청년실업 문제와 함께 소득이 적은 비정규직 일자리가 많아진 것이 소득 감 이어진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에서 ‘좋은 직업’의 기준은 크게 바뀌었다. 통계청의 1995년 조사에서는 직업 선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안정성’(29.6%)과 장래성(29.2%), 수입(27.1%)이 균형을 이뤘지만, 1998년에는 안정성이 41.5%로 압도적인 응답률을 보였다. 공무원이 1등 신랑감으로 올라선 것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팽배해진 불안의 한 단면이다. 해고가 일상화되고 저소득 비정규직이 양산되자 안정에 대한 열망이 높아진 것이다.






■관련기사

[외환위기 20년, 끝나지 않은 고통] (중) 비정규직 양산에 개인 소득도 양극화 - 일상이 된 정리해고…좋은 직업·배우자 기준도 확 바꿨다<경향신문 2017년 11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