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43 Page)

분류 전체보기 12097

주요 금융지주·은행 순이익

주요 금융지주·은행 순이익 주목할 점은 무난히 ‘3조 클럽’ 진입이 예상되는 KB금융과 신한금융의 ‘리딩뱅크’ 경쟁이다.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의 실적이 신한금융보다 다소 앞설 것으로 전망했다. KB금융의 순이익 규모는 3조1200억원대에서 3조4100억원대 초반이다. ■관련기사 KB금융, 작년 실적 신한 제치고 9년 만에 1위 탈환하나

스벤 크라머 프로필

스피드스케이팅 스벤 크라머 프로필 크라머는 5000m 왕좌 수성과 자신의 실수로 놓친 1만m 첫 금메달 도전에 나선다. 크라머는 소치 올림픽 때는 팀 동료 요리트 베르스마에게 1만m 금메달을 내줬다. 상황은 나쁘지 않다. 크라머는 2017~2018 국제빙상연맹(ISU) 남자 5000m 랭킹 2위에 올라 있다. ISU 월드컵 대회가 5차례 열렸는데, 크라머는 4·5차 대회에 휴식을 이유로 불참하고도 1~3차 대회를 모두 우승해 랭킹 2위에 올랐다. ■관련기사 [평창 라이벌전] (3)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장거리 한국 이승훈 vs 네덜란드 스벤 크라머 - 장거리 맞수의 ‘3라운드’ 이번엔 진짜 황제 가린다

이승훈 프로필

스피드스케이팅 이승훈 프로필 이승훈은 4개 종목 올림픽 메달에 도전한다. 5000·1만m와 팀 추월에 이어 매스스타트 금메달을 노린다. 참가 선수들이 동시에 트랙을 돌며 순위를 가르는 매스스타트는 스피드와 함께 전략 등 경기운영이 중요하다. 쇼트트랙 선수 출신 이승훈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2017~2018 ISU 월드컵 매스스타트 랭킹도 1위다. ■관련기사 [평창 라이벌전] (3)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장거리 한국 이승훈 vs 네덜란드 스벤 크라머 - 장거리 맞수의 ‘3라운드’ 이번엔 진짜 황제 가린다

헬스케어 진출 3개 기업

헬스케어 진출 3개 기업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 CEO 제프 베이조스, 미국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의 CEO 제이미 다이먼이 공동으로 헬스케어(건강관리) 업계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했다. 직원들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들이 설립할 기업이 미국 의료계와 헬스케어 산업에 어떤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헬스케어 서비스 직접 하겠다” 손 맞잡은 미 재계 거물들

도널드 트럼프 국정연설 주요 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국정연설 주요 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월 30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국정연설에서 ‘안전하고, 강하고, 자랑스러운 미국’ 건설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는 “새로운 미국의 순간”을 위해 “차이는 뒤로 하고 통합을 소환하자”고 강조했다. 하지만 미국을 강하게 만들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정책 대부분은 반이민, 보호무역 기조를 담고 있어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트럼프 국정연설]돈과 힘의 논리로 '미국 우선' 노골화

서울시 5개년 혁신성장 프로젝트

서울시 5개년 혁신성장 프로젝트 서울 동대문구에 기획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패션허브’가 들어선다. 홍릉·창동 지역은 바이오 첨단연구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1월 31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5년간 3조원가량을 투입해 일자리 6만개 이상을 만들어내겠다는 복안이다. ■관련기사 서울시, 유망산업 3조 투입·일자리 6만개 창출

미래혁신성장 투자계획

미래혁신성장 투자계획 서울시는 “2022년까지 3조4400억원을 투자해 서울시내 곳곳에 창업과 기업지원 시설 66곳을 만들어 9396개 기업을 지원, 총 6만2533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며 “서울의 경제지도를 다시 그려 정부의 경제정책을 뒷받침하면서 지방정부 차원에서 산업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유망산업 3조 투입·일자리 6만개 창출

호반건설 계열 및 대우건설 비교

호반건설 계열 및 대우건설 비교 국내 시공능력평가 3위인 대우건설의 새 주인으로 13위 호반건설이 확정됐다. 호반건설은 이번 인수·합병(M&A)으로 본격적인 사세 확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도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대우건설과의 몸집 차이가 커 ‘승자의 저주’를 피하기 위해 넘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관련기사 ‘고래 삼킨 새우’…호반건설, 대우건설 인수